처음 직접 클래스와 함수를 만들고 Android SDK 영역 내에서 충분히 개발이 가능했지만,
시간이 지날수록 반복 사용되거나 통신 부분을 개발할 때 라이브러리를 찾게 된다.
초심자에게 라이브러리란 뭔가 어려운 존재처럼 느껴질 수 있으나,
지금까지 사용 하였던 모든 기능들은 프레임 워크와 더불어 android studio가 친절하게 gradle에 선언시켜 놓았기 때문에 사용이 가능했던 것들이다.
이젠 직접 라이브러리를 추가하여 봄으로써 그 무서움을 깼으면 좋겠다.
Log를 간편하게 작성하고 출력시키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이다.
(나만 디버그 용도로 사용하려 만든 라이브러리이다)
라이브러리 저장소 위치 : https://github.com/b3lon9/NLog
GitHub - b3lon9/NLog: android Log , you can know linenum-ber, line location and error message
android Log , you can know linenum-ber, line location and error message - GitHub - b3lon9/NLog: android Log , you can know linenum-ber, line location and error message
github.com
해당 위치로 이동 후 밑으로 쭉 드래그를 하면,
적용하는 순서를 작성하였다.
1. 라이브러리를 받기위한 환경 설정
[settings.gradle 위치]
: 'Project'가 아닌 'Android'로 되어 있으면 Gradle Scripts하위에 있다.

repositories 중괄호 안에 이전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.
(버전에 따라서 깃허브의 안내 내용과 다를 수 있다)
dependencyResolutionManagement {
repositoriesMode.set(RepositoriesMode.FAIL_ON_PROJECT_REPOS)
repositories {
google()
mavenCentral()
maven(url = "https://jitpack.io")
}
}
그리고 우측 상단에 'Sync Project Gradle Files' 또는 'Try Again'을 하여 업데이트 한다.
2. 라이브러리 받기
[build.gralde 위치]
: app폴더 하위

dependencies 중괄호 안에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.
(버전에 따라 깃허브 안내 내용과 다를 수 있습니다)
dependencies {
...
// add library
implementation("com.github.b3lon9:NLog:1.0.6")
}
상단의 'Sync Now' 또는 'Sync Project with Gradle Files'를 클릭하면 업데이트 됩니다.
이제 어느 클래스에서든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.

'dev > a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OS] 다른 화면 띄우기 (Activity) (2) | 2023.10.26 |
---|---|
[AOS] 웹뷰 WebView Guide (0) | 2023.10.23 |
[AOS] DataBinding XML이벤트 주고 받기 (0) | 2023.10.18 |
[AOS] ViewModel 생성하기 (0) | 2023.10.14 |
[AOS] Permission 권한 요청 및 획득 (0) | 2023.10.14 |